-
대한민국 최고의 문화유산인 한글의 우수성Travel 2015. 10. 28. 18:16
■ 한글의 단순하면서 완전한 문자.
한글은 자음 'ㄱ(기역; giyeok) ㄴ(니은; nieun) ㄷ(디귿; digeut) ㄹ(리을; rieul) ㅁ(미음; mieum) ㅂ(비읍; bieup) ㅅ(시옷; siot) ㅇ(이응; ieung) ㅈ(지읒; jieut) ㅊ(치읓; chieut) ㅋ(키읔; kieuk) ㅌ(티읕; tieut) ㅍ(피읖; pieup) ㅎ(히읗; hieut)' 와 모음 'ㅏ(아; a) ㅑ(야; ya) ㅓ(어; eo) ㅕ(여; yeo) ㅗ(오; o) ㅛ(요; yo) ㅜ(우; u) ㅠ(유; yu) ㅡ(으; eu) ㅣ(이; i)'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음과 모음의 조합을 따진다면 초성 19개 × 중성21개 × 종성(27+1)개로 보아 11,172개까지 조합이 가능합니다.
단 23개의 기호로 모든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문자입니다. 자금과 모음 조합을 통하여 제한된 입력도구인 컴퓨터 키보드나 스마트폰 자판을 통해서 쉽게 입력이 가능합니다. 천지인의 키보드를 통해 한글을 입력해 보면 한글의 창제의 원래 취지를 살리면서 입력의 단순함에 우리나라 사람들 뿐만이 아니라 외국 사람들도 놀라게 됩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면서 한글의 창제 원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천지인과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든 한글의 시작은 자연의 이치부터 시작하여 언어학적으로 높은 수준인 음성학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글자인 것입니다. 영어에는 모음이 A, E, I, O, U 밖에 없어서 표현에 한계성이 많고, 한자는 획수도 많고 표현의 한계로 계속해서 만들어 지고 있는 불완전 글자 입니다.
물론 객관적으로 평가되지 않았지만, 외국인이나 어린아이 쉽게 배울 수 있는 언어로 한글이 최고로 뽑힌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상형에 기초한 자음과 모음의 조합이라 기존의 표현은 물론 신조어까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굉장히 체계적임과 동시에 경제적이 언어인 것입입니다.
특히 한글은 훈민정음을 통해 창제 원리를 알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이 말은 있지만, 글이 없는 국민들을 위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문자 입니다. 중국의 유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당시 상황을 고려한다면 쉬운 결정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드라마 뿌리깊은나무를 통해서도 그때의 배경과 창제의 어려움이 여실히 나타납니다. 하지만, 결국 공표 되었고 지금 우리세대까지 편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글은 우리나라 사람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더 인정 받는 글자 입니다. 영국의 역사 다큐멘터리 작가인 존 맨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문자(Hangeul is the best alphabet that all the languages have dreamed of)", 네덜란드의 프리츠 보스 라이덴대 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문자"(They invented the world’s best alphabet! - 'Korean Writing: Idu and Hangeul'), 미국의 언어학자인 게리 레드야드 교수는 "그 무엇보다 비교할 수 없는 문자의 사치이자 세계에서 가장 진보한 언어"(Hangeul is a luxury of language that can't be compared with anything else and is the most advanced language in the world)라며 동원할 수 있는 최고의 찬사를 아낌없이 했습니다.
지금은 한국인이 된 베르너 사세 전 함부르크대 교수는 "전통 철학과 과학 이론이 결합한 세계 최고의 문자"(Hangeul is the best alphabet in the world which combines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science theory)라며 한글의 매력에 푹 빠지기도 했습니다.
■ 한글의 우수성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선정된 한글의 우수성을 정리하면 한글의 우수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존하는 문자 중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 한글
2. 창제자, 창제원리 및 창제시기를 알 수 있는 유일한 문자, 한글
3. 훈민정음으로 창제목적이 알려져 따뜻한 마음이 느껴지는 문자, 한글
시대에 흐름에 따라 한글 사용법이 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의 발달과 방송용 신조어로 한글이 파괴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우리의 소중한 한글을 아끼며 제대로 사용하도록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