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독의 원인과 해결 : SNS 중독을 해결하자건강 2015. 8. 6. 19:47
중독의 원인과 해결 : SNS 중독을 해결하자
현대인들은 심심한 것을 참지 못하고 무언가 계속적으로 자극적인 것을 찾게 됩니다. 사람들은 점점 무엇가에 중독되지 않으면 싫증을 내거나 지루해 합니다. SNS 중독, 쇼핑 중독 인터넷 중독, 핸드폰 중독 증상을 겪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중독 이외에 대부분의 중독들이 인간을 파멸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항상 중독 현상을 주위하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 facebook, 카카오스토리 같은 SNS 들이 더욱 사람들을 외롭게 하기도 합니다.
중독(中毒)
1 . 생체가 음식물이나 약물의 독성에 의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일.
2 . 술이나 마약 따위를 지나치게 복용한 결과, 그것 없이는 견디지 못하는 병적 상태.
3 . 어떤 사상이나 사물에 젖어 버려 정상적으로 사물을 판단할 수 없는 상태.
즉 중독의 '독'이 의미하는 것처럼 단순한 기호 수준이 아니라 '기능 장애' ,' 병적 상태' 에서 알 수 있듯이 중독은 심각하게 위험한 상태를 의미합니다.최근에는 중독 현상에 대해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가 원인이라는 애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먼저 중독에 관한 영상을 감상하시죠. ( Ted Talk 영상으로 한글 자막이 제공됩니다. )( Everything you think you know about addiction is wrong )- 내용 요약 : 영상의 내용은 '중독을 일으키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것입니다. 발표자는 세상의 다양한 상황의 다양한 종류의 중독자들을 만나면서 중독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습니다. 특히 헤로인이 국가적으로 허용된 포루투칼의 케이스를 들면서 우리가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중독의 치료법을 소개합니다. 기존에 중독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이고, 중독의 원인이 개인이 나약함에 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그 원인과 치료법을 사회라는 공동체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사람들에게는 교류하려는 타고난 욕구가 있는데, 우리는 행복하고 건강할때 결속하고 관계를 맺는데, 정신적으로 충격받고 사회적으로 고립될때 무언가 돌파구를 찾게 되고 그게 도박, 마약 또는 게임이 될수 있다는 것입니다.사랑하는 일이 있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독의 유혹에서 쉽게 벋어날 수 있지만, 사회 속에서 대내외 변화로 좋은 관계를 더이상 유지할 수 없다면 없어 다른 대체제를 찾게 됩니다.실제로 포루투칼은 전체 인구의 1%가 헤로인에 중독될 정도로 심각했고, 다른 나라 처럼 계속적으로 통제하고 억압할수록 그 수는 증가하였습니다. 결국 정부와 사회단체들은 통제 비용을 중독자들을 사회와 결합시키는데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사회적인 일자리 증가와 소규모 창업알선 등으로 더 넓은 사회와 결속 하도록 유도하였습니다.- 이러한 중독의 원인과 해결책은 단지 헤로인 중독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 됩니다. 현대 사회에서 게임 중독의 원인은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 불안, 걱정 들입니다. 또한 스마트폰과 SNS 중독은 지루함을 이기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한순간의 취지지지 않으려는 경쟁심리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해결책도 개인보다는 사회에서 찾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 최근 SNS 중독인 불면증의 대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느시대보다 넓은 공간을 사용하며 발전해 오고 있고, 이제는 온라인에서 조차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온라인에 오프라인의 공간을 너무나도 빼앗기고 있습니다. 주위 사람들과의 진짜 관계 속에서 현실의 어려움을 위로 받기 보다는 게임에 몰입하거나 채팅 등으로 사이버상에서 위로 받거나 보상을 받는 것에 익숙해 지고 있습니다.중독 문제의 해결은, 그들이 무언가에 중독되어 있던지 그렇지 않던지 그들에게 더 다가가서, 그들과 함께 있어 주는 것입니다. 그들이 외롭다고 느끼지 않게 된다면 그들은 중독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될것입니다. 그들에게 "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우리가 함께 있습니다. " 라고 먼저 다가가야 합니다.중독의 반대는 맑은 정신이 아니라 관계입니다.* 참고 : 김제동의 톡투유 '중독' 편에서는 단숨에 해결책을 애기하지는 않지만, 중독에 대한 사회 현상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한번 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다시보기 ( 링크 )
반응형